농업기술 기반 공적 개발 원조(ODA) 사업, 세계 식량안보 확보에 기여

0
147

– 조재호 청장, 28일 농촌진흥청 ODA 사업‘외신기자 정책토론회’개최 –

[주요 내용]

□ 최근 기상이변, 코로나 세계적 유행, 우크라이나 전쟁 등 위기 상황이 복합적으로 겹치면서 세계 각국의 식량안보가 큰 위협을 받고 있다.

□ 농촌진흥청은 농업기술에 기반한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을 추진하며 세계 식량안보를 확보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

□ 국제사회와 함께 세계적 식량 위기에 대응하는 대한민국의 노력을 널리 알리고자 외신기자 초청 정책토론회를 개최한다.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28일(수) 오후 2시 한국프레스센터에서 해외문화홍보원(KOCIS)과 함께 ‘외신기자 정책토론회’(KOCIS Policy Forum with Administrator of RDA)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정책토론회에는 외신기자*와 주요 협력 국가의 외교관**이 참석하며, 농촌진흥청 농업기술 공적개발원조 사업(ODA)의 핵심 가치와 추진 방향 및 주요 성과가 발표된다. 정책토론회는 유튜브 채널과 문화체육관광부의 이(e)브리핑을 통해서도 온라인으로 생중계된다.

*(참석매체) 비비씨 월드서비스(BBC World Service), DPA통신(Deutsche Presse-Agentur), 과기일보(Science and Technolgoy Daily), 베트남통신(Vietnam News Agency), 타스통신(TASS) 등

**(주한대사관) 파라과이, 세네갈, 캄보디아, 콜롬비아 대사관 등

농촌진흥청은 이번 정책토론회에서 세계적 식량 위기 극복을 위한 3가지 핵심 추진 방향을 설명한다. 첫째, 국가별 맞춤형 전략 작물과 혁신기술 보급에 집중하여 효과를 극대화하고, 민관협력 및 부처 간 협업을 확대해 동반 상승을 이끌어 갈 계획이다.

둘째, 대륙별 주축인 국제 연구기관을 포함해 전략적 삼각 협력으로 세계 식량안보를 확보하는 기회를 마련하고, 기존 농업기술 ODA 사업에 정보(IT)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화로 개발도상국의 농업기술 혁신을 지원할 계획이다.

셋째, 지구촌 공동 농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세계식량농업기구(FAO), 세계은행(WB) 등 국제기구와 디지털 농업, 식용곤충 활용에 관한 협력을 확대해 나간다는 구상이다.

농촌진흥청은 단순한 기반 시설(인프라) 구축에서 벗어나 농업 생산성 향상을 위한 연구개발(R&D) 중심의 농업기술 ODA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개발도상국 소농의 자립기반 조성에 중점을 두고, 인류 보편적 가치인 ‘기아 해결’(SDG2, Zero Hunger)과 ‘빈곤퇴치’(SDG1, No Poverty) 달성을 최우선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해외농업기술개발사업(KOPIA)과 대륙별농업기술협력협의체(3FACI)를 통해 세계 52개국 150여 개 연구기관과 농업기술 연구개발 협력을 추진하고 있다.

해외농업기술개발사업(KOPIA)과 관련해 국가별 현지 맞춤형 농업기술 개발·보급을 통한 생산성 제고 및 농가소득 증대를 위한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캄보디아에서 최초로 옥수수 신품종(CHM01)을 개발하여 종자 자립화를 지원했으며, 에콰도르에 한국산 씨감자 생산기술을 전수해 생산량 증가를 이끌었다. 파라과이에서는 병해충 저항성 벼를 선발하는 등 성과를 거두었다.

대륙별농업기술협력협의체(3FACI)는 아시아, 아프리카, 중남미 대륙별 공통현안 해결을 위해 다자간 연구개발 협력을 추진하고 있다. 올 12월에 발간을 앞두고 세계식량농업기구와 아시아토양지도를 제작하고 있으며, 아프리카벼연구소와 협력해 세네갈, 말리, 말라위에 수량이 높은 벼 11품종을 등록했다. 중남미에서는 열대농업연구센터와 함께 가뭄에 강한 강낭콩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조재호 농촌진흥청장은 “농촌진흥청은 70년대 ‘통일벼’로 식량난을 해결한 녹색혁명, 80년대 4계절 식량 생산기반을 마련한 백색혁명으로 우리나라 농업·농촌 발전을 책임져 온 농업연구기관이다.”라며 “지난 60년 동안 축적한 농업기술과 경험을 바탕으로 개발도상국의 자립기반 구축에 집중하고, 국제사회와의 협력과 연대를 통한 지구촌 공동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임을 약속한다.”라고 밝혔다.

출처: 농촌진흥청 기술협력국 국제기술협력과